- [보도자료]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한국중소기업학회에서 장애인기업 실태와 정책 성과 발표
- 작성일 : 25-11-10 09:09 조회수 : 61
-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한국중소기업학회에서 장애인기업 실태와 정책 성과 발표
장애인기업 2020년~2023년 사이 51% 증가, 매출 및 고용도 상승
중증 장애인기업 실태 데이터 기반 정책 개선, 업무지원인 제도로 결실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이사장 박마루)는 지난 7일(금)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한국중소기업학회 2025년 추계학술대회에서 ‘장애인기업 실태와 정책 성과’를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
장애인기업실태조사는 장애인기업의 경영 구조, 고용 현황, 재무 성과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국가승인통계(제142014호)로, 정책 수립의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3개년 장애인기업실태조사(2020년, 2022년, 2023년 기준)에 따르면 장애인기업은 짧은 기간 뚜렷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 장애인기업 수는 2020년 기준 11만5,347개사에서 2023년 기준 17만4,344개사로 51%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46.9조 원에서 69.6조 원으로, 종사자 수는 약 40만 명에서 58만 명으로 증가했다.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제도 개선을 이루어낸 정책 성과도 공유했다. 1인 중증 장애인기업은 2023년 기준 8,802개사로 2020년 대비 약 45% 증가했지만, 평균 매출과 평균 영업이익은 경증 장애인기업의 절반 이하로 경영 여건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실태를 바탕으로 입법 및 예산 확보 등 제도 개선을 추진한 결과,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에 1인 중증 장애인기업 업무지원 서비스 제공에 대한 조항이 신설되었다(국민의힘 김예지 국회의원 대표발의, 2023년 12월 시행). 또한 2026년 정부예산안에 약 18억 원 규모의 예산이 반영되어, 내년부터는 1인 중증장애인기업 업무지원인 서비스 지원사업의 정식 추진이 가능할 예정이다.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박마루 이사장은 “장애인기업 실태조사는 경영 현장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자료로, 앞으로도 현장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장애인기업의 성장을 뒷받침하는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장애인기업 실태조사 결과는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2024년 기준 장애인기업 실태조사 결과는 2026년 3월 공표될 예정이다.
![[보도자료]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한국중소기업학회에서 장애인기업 실태와 정책 성과 발표](https://debc.or.kr/data/editor/2511/thumb-82370bf9233967464eb4706c987331bd_1762733336_6175_600x857.png)
▶ 언론보도
- [뉴스1] 장애인기업 3년새 51% 증가…매출·고용도 늘어
https://www.news1.kr/industry/sb-founded/5970044
- [한국경제]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장애인기업 실태와 정책 성과 발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11103391i
- [이데일리] 장애인기업, 3년 새 51% 증가…매출·고용 모두 상승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587926642364408&mediaCodeNo=257&OutLnkChk=Y
- [에이블뉴스] 최근 3년간 장애인기업 수 51% 증가, 매출 67.6조원 성과
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5805

